category : react / 18 min read

React 생태계의 전역 상태: Flux 패턴과 최신 라이브러리

React에서 Global State, 전역 상태는 React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요소가 공유하는 데이터 혹은 상태를 말한다. React로 App을 만들어 본 개발자라면 이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것이다. React에서 “상태(state)”는 UI를 동적으로 만들어 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유저와 상호작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그 상태 중 모든 요소에서 접근 가능한 전역 상태는 흔히 Redux나 React의 컨텍스트 API와 같은 상태 관리자를 통해 글로벌 객체에 저장된다.

전역 상태를 더 알아보기 이전에 React에서 상태(state)의 특징을 잠깐 돌아보자면 React에서 상태는 불변성(Immutability)을 지니고 있다. 이는 리액트가 상태를 업데이트 하는 원리 때문인데, 리액트는 상태값을 업데이트 할 때 얕은 비교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만약 state에 Object가 저장되어 있다면 그 Object의 속성에 대한 값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state의 메모리 참조값을 비교하여 상태를 갱신하게 된다. 즉 객체의 값을 변경해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객체로 state를 재할당하는 것이다.

💡

배열을 state로 관리할 때 해당 배열에 새로운 배열을 저장하고자 할 때 Spread Operator를 쓰는 것 역시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React는 Tree 구조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진입점인 App 에서 부터 Leaf-Node의 컴포넌트까지 그 구조가 이어져있으며 prop 을 통해 데이터를 내려줄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needs가 발생하는데 만약 대부분의 컴포넌트에서 접근하고 싶은 데이터가 있다면 그 데이터는 App 에 선언되어 모든 컴포넌트에게 prop 으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React의 컴포넌트가 언제 re-rendering 되는가를 고려해볼 때 이는 썩 좋은 방법이 아니라 생각된다.

이렇게 모든 컴포넌트가 필요한 데이터 혹은 tree구조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Node 간 공유해야 하는 데이터, react-router가 도입되어 사로 다른 page route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공유해야 할 데이터가 있을 때에 우리는 전역 상태(Global State)의 도입을 선택하게 된다.

Context API

우리가 흔히 useState 를 통해 생성하는 지역 상태의 state를 갱신할 때에는 이 API가 React의 불변성을 준수해주고 있기에 크게 고민해보지 않았지만, 전역 상태를 직접 개발하고자 할 때에는 이 문제가 대두된다.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React Tree를 흔들어 변경된 상태가 즉각적으로 UI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결국 React의 API를 사용하거나, 따로 저장되어 있는 값을 다시 useState로 복사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전역 상태를 핸들링하기 위해 React의 16.3버전에서 Context API가 등장하였다.

💡

엄밀히 표현하면 Context API의 등장은 state를 내려주기 위한 prop의 중첩 즉 드릴링(drilling)을 해결해주기 위함에 가깝다. 다만 본문에서는 전역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Context API를 바라볼 것이기에 위와 같이 기재하였다. 전역 상태란 것이 결국 Tree 외부에 저장되어 있는 state 를 Leaf-Node에서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드는 것이고 이를 Context-API가 충족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틀린 설명은 아니다.

Context API를 사용하면 일일이 prop으로 데이터를 넘겨주지 않고 값을 전파할 수 있다. Context는 Context.Provider 로 Context를 구독하는 모든 컴포넌트(Context.Consumer)에게 변화를 전파하고 Context.Provider 는 value로 prop을 받아서 이를 다시 구독하는 하위의 컴포넌트에게 값을 전달한다. Context.Consumer들은 useContext Hook을 통해 Provider의 value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Context API도 장점만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 Context API를 위한 디버깅 도구 부재 전역으로 상태를 관리하다 보면 관리 할 데이터가 복잡해지고 그 데이터의 변경점을 쫓아가기 어렵도록 크게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Context에서 이를 디버깅하려면 우리는 아주 원시적인 도구(console.log)를 사용해야 한다.
  • 무분별한 리랜더링 발생 Context API를 사용한다 해서 React Tree 구조를 벗어난 새로운 구조를 만든 것이 아니다. Consumer의 입장에서 Provider는 여전히 부모이고, 부모의 state가 변경되면 자식은 리랜더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rovider에게 value를 전해줄 때 값을 useMemo로 매핑해서 전달하거나, 관리하고자 하는 전역 상태의 개수만큼 Provider를 늘리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 Context Lost React Context API는 내부적으로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에 그것을 검증하는 로직을 제공해주지 않는다. 우리는 Provider로 감싸진 Consumer만 Context의 value에 접근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다른 라이브러리 혹은 LocalStorage와 같은 브라우저 저장소와 Context가 결합될 때에 그 연결점을 직접 구현하거나 이 모든 것을 감싸는 새로운 컨텍스트를 생성해야 한다.

Redux, Flux Architecture

이제 전역 상태의 대명사가 되어 버린 Redux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Redux가 React에서 사용하는 전역 상태를 일컫는 표현처럼 되어 버렸고 최신에 React 개발을 시작한 사람은 toolkit에 익숙해져 망각하기 쉽지만 Redux 역시 라이브러리이다. 이 Redux에서 데이터의 불변성을 유지하고 저장소와 컴포넌트의 데이터 간 흐름을 구축할 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 바로 Flux이다. 결국 Redux에서 데이터가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되고 처리되는지 이해하려면 이 Flux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제는 Meta가 되어버린 구 Facebook에서 발표한 이 아키텍쳐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활용하여 React의 View 요소에 대한 저장소 기능을 제공한다.

flux-architecture.png

위 이미지는 이 문서에 확인할 수 있다. 단방향 데이터 흐름은 Flux 패턴의 핵심이며 해당 패턴을 통해 스토어에서 데이터의 getter와 setter의 로직을 일관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위 이미지에서 DispatcherStore 그리고 View는 서로 다른 입력과 출력을 가진 독립적인 노드이고 액션은 데이터의 식별과 데이터의 유형 속성을 포함하는 객체이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을 보충하면 Store가 redux등으로 구현될 전역 객체 저장소를 의미하고 View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UI단의 컴포넌트 영역, 그리고 Dispatch는 유저의 클릭 등으로 발생하는 ActionStore에게 전달하여 전역 상태가 갱신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가 처음 화면을 보는 순간 즉 컴포넌트가 최초 랜더링되는 시점에서부터 상호작용하기 까지 모든 데이터는 Dispatcher를 통해 관리된다. Dispatcher는 스토어가 등록한 콜백을 호출하여 받은 Action으로 부터 변경 사항을 Store에게 알리고 Store는 변경 이벤트를 다시 View에게 전파해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알린다. Store로 관리되고 있는 전역 객체 중 어떠한 객체가 변경되었는지 그 객체가 어떠한 값으로 변경되었는지 등의 정보는 Action이 가지고 있다. 구성요소의 보다 자세한 설명은 예전의 게시글이긴 하지만 react의 legacy 문서에 잘 정리되어 있다.

Redux는 이러한 Flux 아키텍쳐 패턴의 단방향 흐름을 계승하여 Store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후 Redux로 부터 탄생한 다른 라이브러리 역시 모태가 Flux에 있기 때문에 이 아키텍쳐에 대한 이해를 공고히 하면 어떠한 전역 상태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든, 동작을 이해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Redux 이후의 주요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알아보자.

Library

2024-redux-lib-transition.png

2024년 9월 기준 주요 라이브러리의 다운로드 변동 지표를 위 사진과 같다. 위 정보는 연도별 node package download를 확인할 수 있는 npmtrends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6월 16일 redux를 그대로 계승하고 Meta가 관리하고 있는 @reduxjs/toolkit 을 다운로드를 횟수를 zustand 가 추월한 점이 인상적이다. 이것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개발자의 입장은 어떨까.

libraries-retention-users.png

2023 State of React에서 전 세계 13,003명의 개발자로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중 일부분이다. 이 중 우리가 관심있는 부분은 하늘색으로 표현되는 State Management 라이브러리인데 세부적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useState / 9,781 users / 96% retention
  • Redux / 7,981 users / 32% retention
  • Redux toolkit / 5,456 users / 64% retention
  • Zustand / 2,811 users / 95% retention
  • Mobx / 1,761 users / 45% retention
  • Jotai / 1,303 users / 92% retention
  • Xstate / 1,058 users / 71% retention
  • Recoil / 1,052 users / 61% retention

다음은 각 라이브러리의 간단한 특징과 장점에 대해 살펴보자. 각자 구현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다른 요구사항과 환경에 처해있을테니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Redux Toolkit

  • Redux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공식 패키지로, 상태 관리를 위한 도구와 유틸리티를 제공.
  • 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강력한 미들웨어와 개발자 도구를 통해 디버깅이 용이함.
  • 불변성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성능 최적화에 유리.

Zustand

  • 간단하고 직관적인 API를 가진 경량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React의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함.
  • 사용하기 쉽고, 복잡한 설정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어 빠른 개발에 적합.
  • 선택적 구독을 통해 필요한 상태만 업데이트되어 성능이 우수함.

MobX

  • 반응형 프로그래밍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상태 변화가 UI에 자동으로 반영됨.
  • 보일러플레이트 코드가 적고, 개발자가 간단하게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
  • 필요한 부분만 리렌더링하여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

Jotai

  • 원자 기반의 상태 관리를 제공하여, 상태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관리함.
  • 간결하고 직관적인 API로, 상태를 쉽게 조작하고 공유할 수 있음.
  • 각 원자 단위로 리렌더링이 발생해 성능이 뛰어남.

XState

  • 유한 상태 기계와 상태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복잡한 상태 관리를 지원.
  • 상태 전이와 로직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예측 가능한 상태 관리를 통해 디버깅이 쉬워짐.

Recoil

  • React에 최적화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원자와 셀렉터를 통해 상태를 관리함.
  • 컴포넌트 간의 상태 공유가 용이하며, 상태의 의존성을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음.
  • 선택적으로 리렌더링되는 특성 덕분에 성능이 개선됨.

결론

결론적으로 React에서 전역 상태 관리는 확장 가능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다. Flux, Redux 등 다양한 상태 관리 도구의 장단점을 이해함으로써 개발자들은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다. 2024년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경량 라이브러리와 개선된 패턴을 활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개발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태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개발자들은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데 있어 더욱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데 각 라이브러리의 생태계와 커뮤니티 지원, 학습 곡선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전역 상태 관리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자.

목록으로
react 카테고리의 최신글